반응형

다시 구성한 나의 로그인 시퀀스 다이어그램

반응형

일단, JWT를 굳이 왜 써야하는지 이해가 되지않았다.

도대체 어떤점이 session을 이용하는 것보다 더 좋길래 요새는 JWT를 쓰는건지 의문이 들었다.

왜냐하면, 어차피 JWT는 매번 api 호출을 할 때마다 Http header에 있는 authrization 에 Access Code를 넣어서 보내야하는데, 도대체 이 불편한 작업을 해가면서 왜 써야하지?

session은 원할 때 꺼내서 쓰면되는데... 라는 생각이었다.

 

아직 속시원한 답은 아니지만,

일단 header에 넣는 이유는 간단하다

 

이 요청이 누구에게서 온건지 모르지 않냐? 이다. 그래서 누구에게서 온 건지에 대한 정보가 JWT access code에 들어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JWT를 사용하면 다른 서비스 (외부서비스 예를 들면, 카카오 로그인)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왜? 걔네들도 token 을 이용해서 정보를 가져오거든. 그래서 그 token 을 우리가 JWT처럼 사용할 수 있는거다.

어떻게? JWT처럼 http header authrization에 넣어서!!!!

 

그리구, JWT를 사용할 거면 middleware 가 필요하다! 나는 spring boot를 사용하니, spring security가 middleware 가 될 것 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좀더 공부해야한다.

 

그리고, 개발하면서 가져야하는 습관!!!

만약 안되는 로직이 있다면, 왜 안되는 것일까? 라는 의문을 가지고,

이래서 안되는 것일까? 라는 이론을 가지고 접근을 매번 해보자는 것이다.

 

처음에는 userName 이라는 곳에 res.data.NAME을 아예 넣어서 실험을 해봤었다. 그런데, 안되더라. 그래서 음...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넣으면 안되는건가? 라는 생각에 변수에 담아서 변수를 넣었다. 그랬더니 작동을 하더라.

그래서 난 잘되었네? 하고 넘어갔다. 

하지만 여기서 왜 안됫다가 저렇게 하니까 된거지? 라는 생각을 가지고 접근을 했어야 한다는 거다.

결국 그 이유는 { } 이 안에는 map 이 들어갈 수 있다. 즉, key 와 value로 이루어진 애들이라는 거다. 하지만 value만 넣어버리면 당연히 안되엇겟지 

라는 이런 이론을 세우고 이야기를 해야한다는 것이다... 어렵다 증말ㄹㄹㄹㄹㄹ

 

하지만, 포기하지말자!!! 포기하는게 더 바보같은거니깐!!! 이렇게 배워가는거지 뭐....

vue 로 프로젝트를 끝내는 것은 못하고 로그인과 회원가입만 완벽하게 끝낸다면 정말 성공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것만이라도 완벽하게 내것으로 만들어보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