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매번 혼나는 부분!!!!! 이자 나의 취약점인 것 같다...

만약 내가 JWT를 이용해서 로그인에 대한 관리를 하겠다. 라고 한다면, 그 JWT를 이용해서 어떠한 흐름으로 내가 관리를 할 것인지 미리 생각을 해두고 작업을 시작해야하는데....

일단은 그래 JWT 를 이용한 로그인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공부를 한다. 하지만? 그 공부가 완벽하지 않은거다.

나는 내가 어느정도 안다고 생각하고 코드적인 부분으로 넘어가는 경향이 있는데, 내가 아는게 아는게 아니다!

그러면, 어떻게 내가 이걸 극복할 수 있을까? 라고 생각해보면 답은

 

이해한 큰 흐름의 sequence diagram 을 그려보고, 물어보는 것 이다.

 

물어보는 것에 대해 두려워하면 안된다!!!

결국, 신입에게 회사란 키워주는 입장이다 안타깝게도. 그러다보니, 신입은 최대한 빨리 클 수 있게 나보다 경력이 많은 사람들의 도움을 많이 받아야한다는거다! 괴롭히면서라도 빨리 성장한다면, 그게 회사가 신입에게 투자한 값어치를 뽑아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이 든다. 그래서 최대한 빨리 물어봐서 빨리 습득해서 실전에 내가 쓰일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많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

 

망한 로그인 sequence diagram....

 

여기서의 오류는, 3. HttpServletRequest 에 JWT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부분이다.왜 HttpServletRequest 에 JWT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냐는 질문에 나는 말문이 또 콱 막혀버렷다....ㅠㅠ 대답을 할 수 없었다는 말은 결국엔 JWT에 대한 공부가 정말로 내것이 되지않아서 라는 말밖에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나는 localStorage에 저장하기로 했으니, JWT가 존재한다는건 localStorage에 저장이 되어있는지만 확인하면 되는것이라고 했다.

 

 

칼국수 나왓으니 짠🥂회무침 나왓으니 짠🥂수육 나왓으니 짠🥂

 

헤헷😊여기서의 하이라이트는 저 찹쌀생주!!!!! 🤞 JMTG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