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sts 실행하고, workspace 를 프로젝트 생성을 원하는 폴더를 지정해 실행해준다.

2. Spring Starter Project 선택 (file -> New -> Spring  Starter Project)

 

3. Spring Starter Project 선택 (file -> New -> Spring  Starter Project)

항목들을 알아보면, 

Service URL - Spring Initializer 서비스 URL 이다. 입력되어있는 URL 을 통해 Spring 홈페이지에서 데모 프로젝트를 다운받아준다. (Default) 
Name - 어플리케이션 명
Type - 어플리케이션 빌드 타입(Maven, Gradle). 간단한 차이점은 라이브러리를 받아오는 방법이 다르다. 
Packaging - 패키징하는 방법(Jar, War). Spring 에서는 Jar로 배포시 JSP사용이 불가능하여 webapp 폴더를 무시한다고한다. 그래서 Jar 로 배포하면 사용하지 못하니 War를 선택하겠다.
Java Version - 본인 컴퓨터에 다운되어있는 JAVA 의 버전을 선택해주면 된다. (java를 사용하겠다면)
Package - 기능별로 정리하는 폴더.  com.example.demo 로 정의되면 가장 큰 폴더 com / com 하위폴더 example / java 하위폴도 demo 를 의미한다.

 

4. dependencies 선택

 

5. finish 로 설정 끝내자

그러면 프로젝트가 생성됬음!! 

프로젝트 구조를 보면, java + resources(xml, static) + src

6. JSP 와 연동하여 브라우저로 접속해보기

TestController.java 와 test.jsp 파일을 생성해보자

생성하면 com.example.vue.controller 패키지 아래에 TestController.java 

jsp 파일을 만들고 싶어서 src폴더를 보니 webapp/WEB-INF 폴더들이 없었다. 그래서 알아보니, dynamicWebProject를 생성해야 가능하다는거

만약 front와 back을 둘다 하고 싶다면 Dynamic Web Project를 생성해라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1. Vue-CLI 설치

Terminal 을 열어 npm install -g @vue/cli

 

2. Vue-CLI를 이용해 프로젝트 생성

basic_project_test 라는 이름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하겠다. ( 위에는 camel 표기법으로 생성하려했더니 대문자는 안된다는 경고다)

Vue 패키지 버전을 선택하라는 문구가 나온다. 그럼 커서를 방향키로 움직여 선택한다. 나는 Vue 2를 선택하여 설치하겠다. Vue 3 는 안정화되지 않아서 모듈간 의존성 에러를 발생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이다.

생성이 완료되었고, 나는 프로젝트가 바로 나오지 않아 폴더를 직접선택하여 열어줬다.

3. 서버 실행해서 기본 프로젝트 확인

그러면 아래와 같이 기본 Welcome 화면이 뜨는걸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