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TS 를 다시 깔고 시작할때 자주 겪은 로딩이라 기록해둔다.

특히 java 파일에서 수정을 하고 저장을 누르면 화면이 멈추면서 아무것도 누를 수 없게 로딩이 걸린다. 그러고 로딩이 풀리고 아래의 process 를 뭐하고있나 보면, building, validating 을 진행하고있다... 

매번 수정을 할 때마다 building, validating 을 멈추게 하고 싶으면!!

첫번째, validation 끄기

window > preferences > Validation

Build 부분에 체크를 모두 disable 시켜준다.

두번째, 자동으로 매번 building 끄기

Project > Build Automatically 의 체크를 없애준다.

참고로, 바로 적용되는게 아니라 STS 를 껐다 켜줘야한다!!! 그러면 세상 살 것처럼 빨라진 걸 느낄 것 이다!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mybatis를 이용할 때, 회원가입과 같은 로직을 진행할 때 두테이블에 insert를 해줘야하는데 첫번째 테이블에서 insert할때 생성되는 값을 두번째 테이블 insert시에 필요할때 사용!!!

엄청 유용하다!!!

나는 회원가입시에 학부모 회원가입에 먼저 insert되고, 회원가입 테이블에서 IDX 값(auto_increment가 걸려있음)을 학부모 매칭 테이블에 FK값으로 가져와야한다. 이럴 경우, 신기하게 selectKey 를 사용하면 편하다!!!! 

resultType : 해당 컬럼의 타입
keyProperty : 가져오고싶은 컬럼명
order : 쿼리 실행 전에 가져올 것인지, 실행 후에 가져올 것 인지

여기서 처음에 받아온 params 에는 insert 처음에 들어가는 키값들이 들어가 있고, AddNewParent 가 실행된 후에 원했던, IDX값이 {IDX : 값} 이렇게 추가 되어서 출력이 되어진다!!!

그래서 위에서 처음 로그 찍어봤을때랑 AddNewParent가 실행된 후에 찍어봤을때의 params에는 원했던 갑이 추가되어진 map으로 찍힐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ajax로 동적으로 생성된 html 

append로 붙여준 <button class="modifyRowBt"></button> 에 클릭 이벤트를 걸고싶다면, 평소와 같이

$('.modifyRowBt').click(function(){}) 으로는 이벤트가 걸리지 않는다. 이유는? ajax로 이벤트로 html을 생성해준 것이기 때문에 한번더 DOM객체를 읽어줘야한다. 그래야만 새로 생성된 html을 읽을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사용해야하는 것은,

이런식으로 DOM 객체를 다시 읽어서 class="modifyRowBt" 을 찾을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자바에서 자주 사용하는 Getter, Setter, 기본 생성자, toString 등을 일일이 생성해주지 않고, annotation을 통해 자동 생성해 준다. 나는 spingboot 에서의 환경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줄 것이다. 

 

나는 maven을 사용하기때문에

1. lombok 라이브러리를 pom.xml에 의존성을 추가해줬다. 

 

<dependency>
    <groupId>org.projectlombok</groupId>
    <artifactId>lombok</artifactId>
    <scope>provided</scope>
</dependency>

 

2. plugin 을 다운로드해준다

https://projectlombok.org/download

 

Download

 

projectlombok.org

 

3. lombok.jar 파일을 실행한다.

 

다른 블로그들을 보니, cmd에서 jar파일 위치를 찾아 java로 실행하는 과정이 있던데. 나는 STS를 사용하기 떄문에, 거기안에서 자바로 실행했다. 

cmd 사용하실 분들은 https://needjarvis.tistory.com/696 참고하시길

maven dependency에 라이브러리에 추가 해뒀기때문에, 파일을 열어보면 

오케이 lombok.jar 찾았다. 그러면 거기서 

Java Application 으로 실행해준다. 그러면 파일 실행된다.

 

OK 를 눌러준 후,

Specify location을 클릭하여 ->

현재 컴퓨터에서 사용하고있는 STS.exe 파일을 선택 ->

Install/Update 클릭 ->

Quit Installer 클릭 ->

STS를 재시작

 

STS.exe가 있는 폴더에 들어가서 ini 파일을 열어보고, 아래에 것들이 있는지 확인! 있다면 good to go!!! 

  • -vmargs
  • -javaagent:lombok.jar

이걸 보고했는데도 안된다? https://duzi077.tistory.com/142 여기 참고하시길

4. 소스코드 적용하기

적용은 그냥 너무나 간단하다!!!

옛에 source 들어가서 생성해주었던, setter, getter, toString 을 모두 지워준다.

클릭해주면 끄읏! 진심 너무 쉽다.

그냥 이렇게 다 한번에 생김!!!!! 수정해도 자동으로 setter, getter, toString이 수정되기때문에 너무 편하다. 와 이걸 이제서야.... 하하하^^

 

모두 편하게 사용하시길!!

반응형

 

반응형

+ Recent posts